입시

수시 교과전형 준비방법

팍쌤 2017. 9. 6. 12:28

 

수시 교과전형 준비방법

 

 

안녕하세요 ~

고3 학생들의 원서접수가 얼마 안 남았습니다.

각자 노력한 만큼의 결과를 얻길 기원할게요 !

 

지원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수시 교과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수시 제도는 생긴지 얼마 안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심이 없다면 부모님이나 선생님들까지도

정확하게 잘 모르는 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수시가 점차 확대되는 것을 확실히 아셔야 합니다

2016년 66.7%

2017년 69.9%

2018년 73.7%

#자료출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자료를 통해 차근차근 확대됨을 알 수 있는데요

 

수시 교과전형을 포함해서 전형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수시 교과전형 외에도 종합, 논술, 실기 등

많은 전형들이 있습니다

이는 매년 같은 학교에서도 변경이 되는데요

 

교과 같은 경우에는 학생의 내신성적으로만

대학에 가는 경우입니다

(면접이 포함되는 전형도 있습니다)

 

상위 학교를 노린다면 많은 학생을 뽑지 않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의 비중이 큰

학생부 종합까지 바라보고 전략적으로 준비하는게

입학 확률이 높아지겠네요

 

 

 

 

 

혹시 종합전형보다는 논술을 준비하려는 생각이

있으신가요??

 

고려대는 올해 입학전형에서 논술을 폐지했습니다

또, 갈수록 논술의 비중은 작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요

 

왜냐하면 학교도 자퇴나 전과하는 학생들을 줄이기 위해

전공에 대해 관심이 있고 끝까지 열심히 배울 학생들을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소서와 면접을 통해 구별해내는거죠

 

 

꼭 수시 교과전형 뿐 아니라 종합전형까지 알아보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 1:1 무료카톡 상담 <<

궁금하신게 있으면 링크로 연락주세요~

 

 

 

 

수시 교과전형만 바라보면 안되는 이유

 

올해 2017년도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었습니다

이에따라 상위대학들은 영어의 비중을 낮췄는데요

이대로 수능이 절대평가로 간다면 급격하게 학생부 종합의

비중은 커질것으로 예상됩니다

 

서류지원 시기와 맞물려서 최근 2~3개월동안

문의 온 대부분의 학생들은 고3 학생들이였습니다

 

하지만 생활기록부의 수준이 낮아 종합으로 지원해도

가능성이 높지 않으므로, 도움을 요청해도

거절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종합전형 컨설팅을 받기 보다는 정시에 집중하는게

더 확률이 높기 때문인데요)

 

특히 고3학생들은 내신과 생기부가 이미 작성되어 있으므로

도움을 줄 수 있는방법은 자소서와 면접밖에 없어

조금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었네요

 

 

 

 

 

 

그렇기 때문에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고 1,2학년 학생들이 수시를 준비한다면

우선 생활기록부의 방향이 맞는지 상담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한가지 예를들어 생기부의 6번항목 진로희망사항 같은 경우

1학년 엔지니어

 2학년 자동차 엔지니어 

3학년 자동차 엔진개발 엔지니어

 

이와같이 전공이 순차적으로 구체화가 되어야 합니다

 

작년에 일반고등학교 5등급인 학생이 중앙대와 한양대를

지원해서 합격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와 반대로 1등급대인 학생이 똑같은 학교를 지원했지만

생활기록부가 좋지 않아 불합격하였는데요

이는 생기부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리 상담을 받은 후 전반적인 진로에 대해 결정된다면

학생들 성적이 오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꿈이 있고 없고의 차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공부하기에 바쁜 학생들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

고민을 해서 알아보고, 결정을 내린다면 하고 싶은 일을 위해

좋은 학교에 들어가려고 하겠죠

 

입시 관련해서 궁금하신게 있으면 밑의 번호로 연락주시면

자세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02-3486-2175